반응형 웹을 만드려면 미디어쿼리를 적용하여
각 디바이스별 사이즈를 적용해주어야 한다.
각 디바이스별로 웹에 있는 구성요소들의 크기라던가, 배치를
다르게 해주면 다양한 웹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.
내가 지금 제작하고 있는 포트폴리오에는 다음과 같은 사이즈를 적용하였다.
@media (max-width: 1024px) {
}
@media (max-width: 769px) {
}
@media (max-width: 575px) {
}
더 세부적으로 크기를 지정할 수 있으나,
난 대표적인 디바이스별로만 크기를 적용하였다.
@media (max-width : 1024px) :: 태블릿
@media (max-width : 769px) :: 작은 사이즈의 태블릿, 모바일 가로모드
@media (max-width : 575px) :: 스마트폰
기본적인 css는 표준 웹 사이즈를 바탕으로 하여 제작하고 (min-width:1025px)
미디어쿼리 css 파일을 별도로 분리하여 위의 사이즈별로 커스터마이징하거나,
커스터마이징하고싶은 부분에만 미디어쿼리를 적용하면 된다.
미디어쿼리는 화면배율이 큰 순 -> 작은 순 으로 지정한다.
그 밖에, 디바이스별 사이즈를 확인하고 싶다면,
Device Metrics 에서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바람.
https://material.io/resources/devices/
Device Metrics - Material Design
A comprehensive resource for sizing, resolution and pixel density across popular devices.
material.io
'we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마크다운 쉽게 쓰기 - 마크다운 에디터 'StackEdit' (0) | 2020.02.26 |
---|---|
어이없는 실수 - 팝업창에 이미지 슬라이드 넣기 (5) | 2020.02.07 |
Git - 자주쓰는 명령어 모음 (0) | 2020.01.28 |
CSS Diner - css 선택자 연습 (0) | 2020.01.08 |
owl carousel 슬라이드 여러개 넣기 (0) | 2019.12.04 |